건강상식/생활상식

당신의 체지방 위험하지 않습니까?

청솔1 2010. 6. 19. 18:36

당신의 체지방 위험하지 않습니까?

Q. 복부비만이란?

A.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비만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남성은 연령증가에 따라 내장지방이 축적되고, 여성은 폐경 후에 현저히 증가되며, 또한 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운동부족과 식생화 변화로 증가됩니다.

특히, 한국사람의 경우, 만성질환 발병 위험이 높은 복부 비만이 많습니다.

Q. 복부 비만이 왜 위험한가요?

A. 대부분 눈에 보이는 피하지방 때문에 고민하지만, 사실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는 내장지방이 더 큰 문제입니다.

특히 내장지방의 양은 복부 비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Q. 체지방 관리 꼭 해야 하나요?

A. 고객님, 건강한 체중관리는 꼭 필요합니다.

살이 찌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2~5배 정도 높다고 합니다.

단순히 보기 좋게 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건강하게 살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건강관리입니다.

Q. 비만의 정도는 어떻게 알아볼수 있나요?

A. 체지방 중에서도 복부 체지방이 만성질환과 상관관계가 높아 비만의 평가에 허리둘레 측정을 이용하는 체질량 지수(BMI)로 비만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분류

BMI(/)

동반질환의 위험도

 

 

허리둘레

90 이하(남성)

90 이상(남성)

80 이하(여성)

80 이상(여성)

저체중

18.5 이하

낮다

보통

정상범위

18.5~22.9

보통

증가

과체중:

위험체중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

23 이상

23~24.9

25~29.9

30 이상

 

증가

중증도

고도

 

중증도

고도

매우 고도

고객의 비만 정도를 알아 보아요!!

) : 160cm, 몸무게 : 60Kg, 허리둘레 : 72cm 인 여성 고객의 경우

BMI =

체중(kg)

((m) X (m))

23.4 =

체중(60kg)

(1.6m) X (1.6m)

1. 일차적으로 체질량 지수를 계산한다.(위 계산결과 체질량 지수는 23.4)

2. 비만도의 표를 비교하여 자신의 비만도를 판정한다.(위험체중으로 관리필요)

Q. 일반적인 다이어트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굶어서 체중을 감량하는 경우 – 단기간 급속한 체중감량은 보이지만 근육량의 감소와 더불어 기초 대사량이 감소하므로 요요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B. 의약품(식욕억제, 지방흡수억제) 복용 경우 – 위장장애, 소화불량, 두통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C. 운동만 하는 경우 – 근육량이 증가하면서 기초대사량이 감소하는 것을 막아주지만 현대인들은 시간부족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므로 실패하는 경우도 많고 효과는 상당히 느리게 나타납니다.

Q. 체지방 관리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할수 있을까요?

A. 효과적인 체지방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3박자가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주는 운동

2. 균형적인 에너지 섭취를위한 식이조절

3. 체지방 감소 및 운동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적절한 기능성 식품의 섭취

따라서 건강한 체지방 관리를 위해 식이조절, 운동요법, 기능성 식품을 섭취를 병행하면서 지속적인 습관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제지방이 무엇인가요?

A.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수분, 근육, 당질, 뼈 등을 측정한 양으로 제지방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 체지방 감소 효과를 크게 볼 수 있습니다.

A. 체형이 말랐다고 해서 체지방이 낮은 것은 아닙니다.

표준체중을 갖고 있거나 그 보다 체중이 적게 나가더라도 체지방 함량이 높은 마른 비만인 경우도 많습니다.

건강하게 체지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므로 무조건 살을 빼는 것이 아닌 인체에 축적된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켜 체지방 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